살치 살 치 특 성 안동호 등에서는 청피리 또는 백피리라고 부르는 놈으로, 낚시꾼들은 그냥 피라미라고 부르기도 한다. 삼치, 은어 등의 이름으로 부르는 지역도 있는데, 꼬리지느러미에 검은 줄무늬가 들어가 있다. 학명은 Hemiculter leucisculus. 잉어목 잉어과 강준치아과로서 생김새가 정어리와 비슷하게 생.. 민물 어류정보 2008.01.27
산천어 산 천 어 특 성 물이 맑고 깨끗한 계류(溪流), 청산녹수(靑山綠水)에 서는 산천어는 청어목 연어과 연어속의 찬물을 좋아하는 냉수성 어류로서, 인구는 적지만 플라이 및 루어낚시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어종이다. 산천어의 학명은 Oncorhynchus masou ishikawai이다. 영어명은 체리새먼(cherry salmon). 또는 마스 .. 민물 어류정보 2008.01.27
빙어 빙 어 특 성 몸 등쪽은 옅은 황갈색으로 살색을 띠며 배는 은백색이고 입은 작다. 0~18℃에서 서식하는 냉수성 어류이지만 30℃까지도 생존이 가능할 만큼 적응력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크기는 최고 15~18cm 정도까지 자라며, 측선 비늘 수(midlateral scales)는 54~60개이다. 빙어는 3월 초에 산란을 하며 늦으면.. 민물 어류정보 2008.01.27
블루길 블 루 길 특 성 농어목 농어아과 검정우럭과(또는 선피시과:Centarchidae) 검정우럭속에 속하는 민물고기로서 표준명은 파랑볼우럭이다. 이 이름은 1977년에 어류학자 정문기박사가 부여한 것이나 지금은 블루길이란 속명(俗名)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블루길의 학명은 lepomis macrochirus이다. 여기서 lepomis는 .. 민물 어류정보 2008.01.27
붕어 붕 어 특 성 학명이 Carassius carassius인 유럽계 붕어의 발생지는 카스피해(Caspian sea) 지역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는 스위스, 스페인, 이태리 남부, 핀란드를 제외한 전 유럽에 분포한다. 아시아 계열의 붕어는 학명이 Carassius auratus. 학명 가운데 auratus는 금(gold) 또는 금으로 장식한 것을 뜻하는 라틴.. 민물 어류정보 2008.01.27
배스 배 스 특 성 미국에서는 민물어종 가운데 가장 중요한, 그리고 가장 인기 있는 낚시 대상어종의 하나. 농어목(percida) 농어과로 민물 배스(freshwater bass)와 바다 배스(sea bass)로 나뉘는데 전세계적으로는 425종이 있다. 약 75종인 민물 배스 중 낚시로 인기가 있는 것은 블랙 배스(black bass)류. 블랙 배스는 라.. 민물 어류정보 2008.01.27
무지개송어 무 지 개 송 어 특 성 약 1억년 전인 백악기(cretaceous)에 생겨난 가장 오래된 경골어류의 한 종류로서 12~13℃ 이하의 수온에서 잘 낚인다. 1965년 미국 캘리포니아 콜맨(coleman) 국립양어장에서 수정란 20만개를 도입, 부화에 성공한 것이 국내 무지개송어 이식사(移植史)의 처음이다. 무지개송어는 현재 우.. 민물 어류정보 2008.01.27
메기 메 기 특 성 우리나라의 메기과에는 14종이 있다. 동자개, 자가사리 등도 이 과(科)에 포함되며 메기속에는 메기와 미유기의 2종이 있다. 우리나라와 중국, 대만, 일본 등지에 널리 분포하며 학명은 Silurus asotus이다. 아소투스(asotus)는 ‘호색한’ 또는 ‘감각주의자’ 등의 의미를 갖고 있는데, 수염의 .. 민물 어류정보 2008.01.27
누치 누 치 특 성 잉어목 잉어과 모래무지아과에 속하며 잉어와 비슷하나 머리가 크다. 학명은 Hemibarbus labeo이다. 영어명은 skin carp, 또는 steed barbel. 일본명은 고라이니고이 이며, 중국명은 입술이 두텁다는 뜻의 중순어(重脣魚)로서 누치의 가장 큰 특징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몸이 길고 옆으로 납작하며 입.. 민물 어류정보 2008.01.27
납자루 납 자 루 특 성 잉어과의 민물고기로, 강의 흐름이 완만한 곳이나 호소 등 민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형종이다. 학명은 Acheilohnathus. 동글납작하며 크기는 5~10cm정도 자란다. 산란기는 5~8월이다. 산란기로부터 가을철 10~11월까지 구더기나 지렁이 또는 떡밥미끼에 잘 낚인다. 한강에도 다량 서식하며, .. 민물 어류정보 2008.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