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물 어류정보

잉어

jbm0427 2008. 1. 30. 21:40
 잉 어

 

 특 성

학명은 Cyprinus carpio. 잉어목 잉어과에 속하며 영어명은 카프(carp), 일본명은 고이, 중국 표준명은 리위(鯉魚)이다. 조선시대에는 적리(赤鯉), 백리(白鯉), 황리(黃鯉), 선후(鮮后) 등으로도 불렀다. 국내에서는 현재 1자 미만의 어린 놈을 쭈리기 또는 발갱이라는 방언으로 부른다.
원산지는 중앙아시아에서 중국 남부에 이르는 지역이며, 유라시아대륙에 걸쳐 자원이 풍부하다. 번식력이 좋으며 생활력이 강하다.

탐식성으로 우렁이나 달팽이 등 패류를 부숴먹기도 하며 물벌레나 지렁이, 조류(藻類), 수초 등을 먹는 잡식성 어종이다. 잉어가 먹이를 취할 때 흡인섭이(吸引攝餌)라는 독특한 방식을 취하는데, 주둥이를 모래 속에 반쯤 넣고 모래와 먹이를 함께 빨아들인 다음 먹이만을 걸러먹고 나머지는 뱉어버리는 먹이습성을 말한다. 스이꼬미라 하는 네바늘, 다섯바늘 또는 여섯바늘채비는 잉어의 이러한 섭이습성을 이용한 낚시채비이다.

모래나 자갈 또는 마사토가 섞여있는 깨끗한 바닥이나 돌바닥, 장애물이 없는 완경사 바닥 또는 골자리 등을 잉어는 매우 좋아하며 5~10m 안팎의 수심을 주된 서식처로 한다. 13~14℃ 이하의 찬물에서는 식욕이 떨어지며 10℃ 이하가 되면 활동이 둔해진다.

겨울엔 보다 깊고 수온이 따뜻한 곳으로 옮겨가며 4월 중순 이후 6~7월 경 산란을 한다. 산란은 수초밭에서 주로 하며 맑고 바람이 없는 새벽이나 아침 또는 오후에 한다. 암놈이 수초나 나뭇가지 등에 알을 붙여 산란하면 여러 마리의 숫놈이 거기에 방정을 하여 수정시킨다. 알은 침성점착란(沈性粘着卵)으로, 수정란은 15℃에서 6일이면 부화하며, 1년이면 15~20cm, 3년이면 25~35cm로 성장한다. 숫놈은 2년이면 성숙하고 암놈은 3년이면 늙는다. 그러나 미국에서의 연구, 조사로는 25년 가량 살며, 옥수수와 반죽떡밥을 좋아하는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낚시방법

잉어낚시는 강, 저수지 또는 댐낚시 형태로 행해진다. 연중 가능하지만 4~6월 이후 9~11월까지가 가장 잘 되는 시기이다.

잉어는 시각과 후각이 뛰어나며 매우 영리하여 소음에 민감하며, 불빛이나 기타 진동을 싫어한다. 따라서 잉어를 낚으려면 장기전을 펴는 인내력과 잉어의 습성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경계심이 많은 만큼 낮에는 보다 깊은 곳에서 놀고 밤에는 얕은 곳에까지 나온다. 아침, 저녁의 먹이 시간대에는 물 가장자리까지 나오기도 하며 수온이 오르는 한여름철에는 3~5m 전후의 수심대에서도 논다.

잉어낚시 포인트는 깨끗한 잔자갈밭, 모래밭 또는 황토지대나 마사토가 듬성듬성 있는 지대. 그러나 감탕이나 진흙뻘이 많은 바닥은 잉어낚시 포인트에서 제외된다.
미끼는 떡밥 외에 짜개 등이 주로 사용된다. 원자탄이라는 배합미끼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80~91% 찐깻묵가루에 통보리가루, 옥수수가루, 거친 콩가루 등을 섞은 것이다. '잉어밥'이라는 혼합미끼도 널리 쓰인다.

낚시는 물이 빠질 때보다 물이 불어날 때, 그리고 홍수가 지거나 큰 물이 지나간 다음 다시 물이 맑아지기 시작할 무렵이 최고 찬스로, 소양호 상류의 양구대교권과 춘천호 및 파로호 등이 이름난 낚시터. 지금까지의 세계기록은 중국에서 잡힌 전장 166cm, 무게는 45kg로 무려 250명분의 횟감이 나왔다고 한다.

* 대낚시
대낚시 채비로는 보통 3~4.5칸대의 민낚싯대에 4~5호 원줄, 3~4합사 목줄을 쓴다. 바늘은 잉어바늘 10~13호, 또는 감성돔 3~5호 크기의 바늘을 쓴다. 바늘채비는 쌍바늘, 세바늘 그리고 스이꼬미라 부르는 네바늘 또는 다섯바늘, 여섯바늘 채비를 사용한다. 찌는 일반 막대형의 막찌를 사용하되 너무 길지 않은 것을 쓴다.

낚싯대는 1~2대만을 펴는 것이 원칙.
4~5m 수심을 포인트로 하여 헛채기를 계속함으로써 포인트 바닥에 충분한 양의 밑밥이 쌓이도록 한다. 깻묵가루에 옥수수가루, 거친 콩가루, 보릿가루를 섞은 밑밥을 축축하게 물에 개어 미끼를 달아서 쓴다.

그러나 잉어의 입질은 매우 신중하다. 예신에 이어 본신은 10~20분 후에 올 정도로 입질이 매우 신중하다.

* 릴낚시
미끼는 깻묵가루, 짜개(깻묵덩어리), 떡밥, 감자, 고구마 등의 식물성 미끼가 주로 사용된다.

잉어낚시용 또는 민물용 릴대에 중형 스피닝 릴, 원줄 5~6호, 4~6 합사 목줄로 맨 네바늘, 다섯바늘 또는 여섯바늘 등의 이른바 스이꼬미 채비를 사용한다. 바늘은 잉어바늘 11~15호, 감성돔 3~5호 바늘, 벵에돔바늘의 경우 12~13호면 적당.

릴낚시에 잉어를 걸면낼 때 손수건 등으로 잉어의 눈을 가리면 잉어는 얌전하게 있는다. 바늘을 밸 때에도 눈을 가려준 상태에서 바늘만 잡고 살며시 빼내야만 수월하다.
잉어는 대체로 낮보다는 밤에 잘 낚이며 이른 새벽~아침 시간에 잘 낚인다. 특히 1m 안팎의 초대형급은 한밤중(초저녁 또는 이른 새벽)의 밤낚시에서 잘 낚인다.

요리방법
잉어 살 100g당 열량 133Kcal, 수분 75.4g, 단백질 17.5g, 지방 6.0g, 탄수화물 0.3g, 칼슘 72mg, 인 195mg, 철 1.8mg, 비타민 B1 0.4mg, 비타민 B2 0.15이 함유된 저지방 고단백 식품으로, 가물치와 더불어 임산부의 산후 조리식품으로 좋다고 알려져 있다.

* 잉어백숙
잉어의 몸에 굵은 소금을 흠뻑 뿌려서 몸의 끈적이를 씻어낸다. 그리고 내장을 꺼내어 잘 씻은 다음, 적당한 크기로 토막을 내어 들기름을 부어 살짝 튀긴다.
일단 잉어를 튀긴 다음에는 기름을 쏟아내고 찜통에 70% 가량 물을 붓고 푹 삶는데, 서너시간 곤 다음에 삼베보자기에 싸서 진국을 짜낸다. 그리고 나서 남은 곰국에 인삼, 대추, 밤, 생강, 마늘 등을 넣고 은은한 불에 고아서 먹는다.

* 잉어 매운탕
잉어를 깨끗이 다듬고 비늘을 완전히 제거한 뒤, 적당히 토막을 내어 냄비에 넣은 뒤 물을 붓고, 여기에 풋고추, 마늘, 생강, 호박, 고춧가루 등을 넣고 끓인다. 기호에 따라 쑥갓, 미나리 등을 넣고 좀 더 끓여내어 먹는다.

낚시채비


 

'민물 어류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라미  (0) 2008.01.30
초어  (0) 2008.01.30
은어  (0) 2008.01.30
쏘가리  (0) 2008.01.30
살치  (0) 2008.01.27